매일 매일

주식투자 아침메모 3월 9일(화요일)

메모2 2021. 3. 9. 07:11

◐종목업종◑

# 오늘(9), 내일(10) SK바이오사이언스(SK케미칼 자회사)의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일. ~공모주 가격은 65000. ~오는 18일 코스피 상장 예정.(매일경제)

 

# 미국 증시에서 퀄컴(통신용 반도체)과 엔비디아 브로드컴 마이크론 같은 반도체 기업들과 어플라이드 램서치 같은 반도체장비 공급회사들 주가가 동반 급락세를 보임. ~반도체 종목은 미국 일자 기준으로, 지난주 수요일 및 목요일에 급락세를 보인 후, 금요일 반짝 반등 이후에 다시 급락세로 돌아선 것.

 

# D램반도체의 슈퍼사이클 기대와 달리, 업계 일각에서 모바일D램 수요가 연초 예상치에 못 미칠 것이란 우려가 제기. ~AP(스마트폰 핵심 시스템반도체)부족으로 스마트폰 생산이 악영향을 받으면, 모바일D램 수요가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 ~시장조사회사(트렌드포스)도 모바일 D램의 가격 전망에 대해 신중한 자세.(한국경제)

 

# 스마트폰용 반도체 기업인 미국 퀄컴의 칩 공급 부족으로 인해, 삼성전자 샤오미 등이 스마트폰 생산에서 차질을 빚고 있다고. ~반도체 품귀 현상이 자동차산업에서 스마트폰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 ~퀄컴에 5G 모뎀칩을 의존하는 애플마저 영향권에 든 것으로 알려짐.

 

# 미국 퀄컴은 공장이 없는 팹리스(반도체설계 전문)여서 생산을 대만 TSMC나 삼성전자 등에 맡기는데, 다른 팹리스의 생산주문도 파운드리 회사에 몰리면서 주문이 1년 이상 밀린 상황. ~퀄컴에 중급 AP를 생산해 주는 삼성전자 오스틴 공장이 한파로 일시 가동 중단된 것도 공급 부족을 심화.(한국경제)

 

# 쿠팡의 미국 증시 상장(11일로 예정)과 관련해, 택배 노동자의 과로사로 쿠팡의 증시 상장에 먹구름이 끼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전일 보도. ~이 영국 경제신문은 쿠팡의 배달기사 8명이 잇따라 과로로 사망했다며, 이로 인해 미국 투자자들은 쿠팡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고 지적.(뉴스1)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코로나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의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사적공간에서 저위험군의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는 지침을 내렸다고 CNBC가 보도. ~코로나 백신 접종 완료자의 행동 지침과 관련한 가이드라인. ~CDC는 백신접종 완료자를 마지막으로 백신을 접종한 후 2주가 지난 사람으로 정의.(연합인포맥스)

 

#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는 최근 경쟁 대신에 협력을 확대. ~이통 시장에서의 마케팅 비용 경쟁 실익이 적어졌고, 오히려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IT기업들과 경쟁해야 될 상황이기 때문. ~SK텔레콤이 최대주주인 원스토어(앱 마켓) KT LG유플러스가 총 260억 원을 투자. ~이통3사는 모바일 인증서 패스(PASS) 구축에도 협력했으며, 5G 통신에서도 농어촌 지역의 기지국 공동 사용을 진행 중.(동아일보)

 

# 한국조선해양은 라이베리아 소재 선사와 컨테이너선 2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 수주금액은 총 2832억원. ~자회사(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해 2023 5월까지 선주사에 인도할 예정.(매일경제)

 

# 항공업종이 유가 상승(항공유 상승)으로 고민. ~싱가포르 현물시장의 항공유 가격은 지난해 4월 갤런당 51.8센트에 불과했지만, 지난해7 100센트를 돌파 한 후, 올해 2월에는 155.17센트로 올랐다고. ~코로나로 최악의 수요감소 상황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연료비 부담만 세 배 늘어난 셈.(서울경제)

 

# 해운업 관련해, 해양진흥공사(해양수산부 산하) HMM을 비롯한 컨테이너 선사들과 손잡고 한국내에 컨테이너 제조업체 설립을 추진. ~지난해 하반기부터 해운운임이 급격히 오른 데다가 최근에는 컨테이너 가격까지 급등했기 때문.(매일경제)

 

# 백광산업은 삼성전자와 함께 고순도염화수소의 양산을 위한 품질 평가가 진행 중이라고. ~빠르면 올해 상반기 중에 승인 여부가 결정될 듯. ~고순도염화수소는 반도체 소재로, 일본 및 독일 회사가 과점하는 아이템.(전자신문)

 

# 씨젠 관련해, 금융위원회는 회계처리기준을 위반해 재무제표를 작성한 씨젠에 2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징계를 결정. (머니투데이)

 

# 신대양제지는 261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수키로 결정했다고 공시.(조선비즈)

 

# 재영솔루텍은 22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한다고 공시.(이데일리)

 

# 제이브이엠은 주당 신주 1주를 배당하는 11 무상증자를 공시.(헤럴드경제)

 

# 바이넥스는 식약처로부터 6개 의약품에 대하여 잠정 제조판매 중지 및 회수 조치를 받았다고 공시.(이데일리)

 

# 피씨엘은 79억원의 파생상품 평가손실이 발생했다고 공시.(이데일리)

 

◆전거래일 폐장 이후 주요 공시◆

【특수관계 주주의 주식 매도 종목】⇒  #

 

【특수관계 주주의 주식 매수 종목】⇒  # 한화  # 에쓰씨엔지니어링  #

 

【기타 주요 공시 종목】⇒  # KTB투자증권(자사주신탁 해지)  # 경동제약(주식 증여)  #

 

♡ 특수관계 주주의 주식 매도매수 종목 ⇒  # 새론오토모티브  #

 

 

◐경제환경◑

# 미국 증시는 나스닥 대표종목들 및 반도체주 하락. ~다우지수 0.9% 상승. ~나스닥지수 2.4% 하락. ~S&P지수 0.5% 하락.

<중소형주 반영하는 러쎌지수는 0.3% 상승>

 

# 미국 반도체 관련 업종의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5.4% 급락. ~ 마이크론(메모리칩)4.3% 하락. ~인텔(종합 반도체)1.4% 하락. ~대만TSMC(뉴욕증시 예탁종목) 5.6% 하락.

 

# 미국 나스닥에서 테슬라 5.8% 하락. ~애플 4.1% 하락. ~니콜라(한화그룹 투자 수소트럭) 1.8% 하락. ~플러그파워(SK투자 수소에너지) 3.0% 하락.

 

# 뉴욕 거래소에서 WTI기준 석유가격은 1.6% 하락. ~금 가격은 1.2% 하락.

 

# 미국 시장 금리(10년만기 국채수익률 기준)은 뉴욕 거래 시간대에 1.575%에서 1.613%의 박스권으로 움직임. ~거래시간 후반에 1.598%를 기록. ~미국 시장 금리 상승세와 더불어 달러화 강세 현상이 나타나, 달러인덱스지수가 92.4까지 올라가. ~최근들어 90에서 91의 박스권을 유지하다 상승한 것. ~달러화 강세는 금값 하락 요인으로 연결.

 

# FED(미국중앙은행)는 코로나 사태 대응을 위해 도입했던 긴급 프로그램 3(상업어음자금/ MMF 유동성/ 프라이머리 딜러 신용)를 종료한다고 밝힘. ~미국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자, 긴급 프로그램 지원 없이도 원활하게 금융시장이 작동될 것으로, FED가 확신하는 것. ~코로나 발생 이후 잇달아 도입된 FED의 사상 유례없는 대규모 금융통화 완화정책이 서서히 원위치 될 것임을 시사.(파이낸셜뉴스)

 

# 미국 상무장관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달러 강세를 지지하는 듯한 발언. ~그는 달러화 약세를 지지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 강달러가 미국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주장. ~미국 경제가 빠르게 회복하면서 달러 가치가 상승할 것을 예상한 데 대한 견해를 표시한 것으로 풀이.(아시아경제)

 

# 미국 재무장관은 방송 인터뷰에서19000억달러 규모의 초대형 경기부양책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 인플레 우려 요인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미국 경제가 코로나 사태에서 완전히 벗어나기 위해 꼭 필요한 규모의 부양책이라고 강조. ~재무장관은 2022년에 미국 경제가 완전고용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

 

# 한국 채권시장에서 전일 시장 금리(국고채 수익률 기준)가 급등. ~ 국고채 3년물 금리는 7.3bp 급등한 1.139%로 마감. ~지난해 323일 이후 최고 수준. ~10년물 금리도 3.6bp 뛰어 2.028%로 마감. ~마감 기준으로 2년만에 2%선을 넘어선 것. ~2019 35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뉴스1)

 

 

◐아침생각◑

주식투자에 필요한 상상력은 그냥 주어지지 않는다. 상상력도 무()에서 유()로 나오지 않는 법. 가성비 높은, 경제적인 시간투자는 세상 뉴스를 습관적으로 읽어 보는 것이다. 하루 10분만이라도 매일 세상사 흐름을 관찰해 보는 습관, 주식시장에서 투자 승률을 높여주는 묘약이다.

 

<창작잡설>

 < 동네 언덕에서 보이는 아파트 단지 / 오늘 행운을…>

  

♣매일 아침 730분 이전에 메모를 올립니다.  독해 및 메모 쓰기 과정의 착오로, 오독과 오탈자 및 숫자 오류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관심 사항은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원문을 다시 확인하고, 스스로 판단해 주십시오.  ♣오탈자 및 오류 수정용 댓글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