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업종◑
# 화이자(미국 제약사)는 11월 셋째주에 코로나 백신에 대한 긴급사용 승인을 미국FDA에 신청할 전망이라고 밝힘. ~블룸버그통신은 화이자가 미국내 백신 개발 1호 회사가 될 가능성을 언급. ~화이자는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함께 코로나 백신을 공동 개발 중. (중앙일보)
# 시노벡(중국 제약사)이 코로나 백신(중국 당국이 긴급사용 허가)을 약 60달러(6만 8000원)에 공급(2회 접종 기준)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 ~중국 헤이룽장성 이춘시 본부는 60달러에 시노벡 백신을 의료진과 고위험군 대상으로 접종. ~시노벡의 백신은 현재 3상시험 중. (뉴스1)
# 미국 정부가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들에 중국기업(화웨이, ZTE 등) 통신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면, 금융지원(총 수십억달러 규모 대출)을 제공하겠다며 설득에 나선 것으로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 ~한국의 삼성전자, 노키아(핀란드), 에릭슨(스웨덴) 등 5G 통신장비를 만드는 비(非)중국 대기업들과 거래 가능성. (연합뉴스)
# 삼성그룹 이재용 부회장의 베트남 출장(19일)과 관련해, 베트남 현지에서는 삼성SDI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 신설이 발표될 것이라는 관측. ~현재 삼성SDI는 휴대전화 배터리를 조립해 삼성전자 베트남 법인에 납품하는 현지 조립라인을 갖고 있지만, 배터리 제품 관련 생산라인은 없다고. (중앙일보)
# 현대차 코나EV의 화재 건이 지난주말 경기도 남양주에서 또 발생. ~2018년이후 14번째 코나EV 화재. ~주민자치센터 주차장의 전기차충전소에서 충전중인 코나EV에서 불이나 119에 신고됐다는 것. (중앙일보)
#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의 올해 3분기 영업실적이 양호한 것으로 추정. ~비대면 확산으로 무선통신부문이 선전했으며, IPTV와 초고속인터넷도 견조한 실적. ~이통 3사는 지난해 5G 도입 초기에 가입자 유치 과열이 발생했었으나, 이후 효율적으로 마케팅 비용을 집행. (아이뉴스 24)
# 옵티머스 펀드(사기극 논란)에 가입한 상장회사가 59곳에 달한다고. ~오뚜기(150억원), 제이에스코퍼레이션(150억원), BGF리테일(100억원), HDC(65억원), LS일렉트릭(50억원), 한일시멘트/한일홀딩스(50억원), 넥센(30억), 에이치엘비·에이치엘비생명과학(400억원), 에이스토리(130억원), 케이피에프(80억원), 안랩(70억원), JYP엔터테인먼트와 NHN한국사이버결제(50억원) 등이라고. (한국경제)
# 대한항공, 제주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이 기간산업안정기금을 지원받는 것을 두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자 부담 가능성 때문에 고민 중. ~기금 신청을 협의 중이지만, 대한항공은 연 5%대 중반의 이자율이, 제주항공은 연 6%대 중반, 아시아나는 연 7%대 후반으로 추정. (한국경제)
# 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은 올해말까지 영업점 약 70곳을 폐쇄하겠다는 계획. ~ 비대면거래와 디지털금융의 일상화로 은행지점 통폐합은 필연적이라고. ~인터넷에 약한 고령층의 불편을 감안해, 금감원은 시중은행들에 점포 폐쇄를 자제하라고 압박 중. (매일경제)
# 포스코케미칼은 연 3만톤 규모의 전극봉(울트라 하이 파워급/한국은 전량 수입에 의존) 생산공장 건설을 추진. ~전극봉은 고철 스크랩을 녹여 쇳물을 뽑는 전기로에서 심장에 해당되는 핵심 소재. ~저탄소친환경 생산이 중요시되며 전기로 철강 생산이 증가.(한국경제)
# HMM은 한국 수출기업을 위해 부산~미국LA 항로에 컨테이너선 2척을 긴급 추가 투입. ~컨테이너선 추가 투입은 수출기업들 요청에 따라, 지난 8월과 9월에 이어 세 번째 ~미국 경제 회복세로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정기항로에 선박이 부족한 상황을 반영. (연합인포맥스 동아일보)
# KCC, 노루페인트, 삼화페인트 등 페인트 회사들의 지난달 방수재 매출액이 이례적으로 급증. ~방수재 매출은 회사별로 전년동월 대비 33~47% 증가. ~올해 장마 기간이 역대 최장기였던 점이 작용한 듯. (한국경제)
# 한글과컴퓨터 계열 비상장사인 한컴헬스케어는 미국 정부기관에 KF94 마스크 500만장을 공급하는 계약을 맺고, 그중 일부를 미국 전역 개표소로 배송했다고 밝힘. ~한컴헬스케어는 한국 방역 마스크 수출 1위 기업. (매일경제)
# 한국과 중국 조선회사들이 컨테이너선 발주 재개 시기를 맞아 경쟁. ~그리스와 대만 및 독일의 해운 선사는 대형 컨테이너선 발주를 위해 한국과 중국 조선사들을 최근 접촉. ~해상 운임이 급반등 추세를 보이자 컨테이너선 발주 움직임이 활발해진 것. (한국경제)
# 코오롱생명과학이 바이오의약품제조 부문의 물적(기업)분할을 결정. ~바이오의약품제조 부문을 물적분할해 코오롱바이오텍(가칭)을 신설한다고 공시. ~기존 회사인 코오롱생명과학은 케미칼(원료의약, 기능소재)과 바이오(신약개발 등)을 맡는다고. (서울경제)
# 휴비스(TSK 지분율 16.52%), SK디스커버리(4.17%), SK건설(지분율 16.7%) 등 3사는 각각 보유해온 TSK 지분 전량을 4408억원에 KKR(미국 사모펀드)에 처분.~ TSK는 종합환경기업으로 환경기초시설 위탁관리 운영 사업을 통해 한국 수처리 사업을 하는 회사.(매일경제)
# 원익홀딩스가 전기차배터리 소재 장비업체 피앤이솔루션을 인수. ~원익홀딩스는 피앤이솔루션 주식 520만주를 1,000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힘. 인수 후 지분율은 35.1%. ~피앤이솔루션의 주력사업은 리튬이온전지의 수명이나 성능을 검사하는 후공정 장비.(서울경제)
# 헬릭스미스는 유상증자 실패를 가정한다면, 관리종목에 지정될 가능성이 있으며, 1097억원 규모 전환사채(CB) 원리금 지급에 응해야 한다고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의 핵심투자위험) 공시.(한국경제)
# 한진칼이 유상증자를 앞둔 한진의 신주인수권증서(사실상 지분)를 대거 매입. ~한진칼이 한진 등 핵심계열사 경영권을 확실히 지키겠다는 것. ~사모펀드(KCGI)가 한진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경방이 한진 지분을 확대한 것에 대해, 한진칼은 계속 경계 중. (한국경제)
◆전거래일 폐장 이후 주요 공시◆
【특수관계 주주의 주식 매도 종목】⇒ # 지엠비코리아 # 동아에스티 # 두산중공업 # 남성 # 해성디에스 # 애니플러스 # TS인베스트먼트 # 아바코 # 오가닉티코스메틱 # 팬젠 # 코리아에프티 #
【특수관계 주주의 주식 매수 종목】⇒ # 삼부토건 # 롯데칠성음료 # 코스맥스비티아이 #
【기타 주요 공시 종목】⇒ # 테이팩스(소송 판결 접수) # LF(종속회사 코람코자산신탁의 유상증자에 참여) # SK디스커버리/ 휴비스(TSK코퍼레이션 지분 처분) # 고영(실적 공시) # 아이에이네트웍스(인프라웨어로 최대주주 변경) # 세원(대표이사 변경) # 코오롱생명과학(기업분할 공시) # 에스퓨얼셀(유상증자) # 제넨바이오(유상 및 무상 증자) # 피앤이솔루션(최대주주 변경) # 원익홀딩스(피앤이솔루션 인수) # 인프라웨어(엠투엔 지분 처분) #
♡ 특수관계 주주의 주식 매도 및 매수 종목 ⇒ # 형지엘리트 #
◐경제환경◑
# 미국 증시는 혼조. ~다우지수 0.3% 상승. ~나스닥지수 0.3% 하락. ~S&P지수 0.01%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0.4% 하락.
# 미국 나스닥에서 테슬라 주가 2.0% 하락. ~애플 주가 1.4% 하락. ~니콜라(한화그룹 투자) 주가 16.1% 하락. ~나녹스(SK텔레콤 투자) 주가 2.9% 하락.
# 뉴욕 거래소에서 WTI기준 석유가격은 0.2% 하락. ~금 가격은 0.1% 하락.
# 중국의 공산당 전인대 상무위원회(최고 집행기관)가 미국 견제용 수출관리법(기업 블랙리스트법)을 통과(12월부터 적용)시킴. ~미국은 국가안보를 이유로 중국의 화웨이를 제재하고, 틱톡과 위챗을 미국시장에서 퇴출하겠다며, 중국측을 압박해 왔는데, 중국 정부는 수출관리법으로 맞대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공식화한 것.
# 영국 총리 대변인은 EU정상회담 결과와 관련해, 무역협정이 끝났다며, 노딜브렉시트를 시사했다고 AP통신이 보도. ~EU 정상들은 이틀간 정상회의 결과로 영국측 제시 시한(15일)을 넘겨 다음달까지 협상하자는 의견을 모았는데, 영국측이 이를 협상 결렬로 평가한 것. (서울경제)
# 무디스(국제신용평가)는 코로나 영향을 이유로 영국의 신용등급을 ‘Aa3’로 한 등급 하향 조정. ~무디스는 영국 경제가 코로나 이전에도 좋지 못했지만 코로나 이후 경제 상황은 더 나빠졌다고 지적. (뉴스1)
# 미국의 증권회사(브로커업 부문)들이 대통령 선거를 둘러싼 증시 변동성을 우려해, 위탁증거금률을 올리고 있다고 배런스지가 보도. ~시장 변동성을 이유로 위탁증거금률을 25% 수준에서 종목별 30% 이상 상향 조정. ~배런스는 대선이 시장리스크 요인이지만 올해는 특히 더 하다고 지적. (연합인포맥스)
# 한국 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으로, 총 746만명을 대상으로 영화 관람권, 공연 티켓, 헬스장 이용료 등을 깎아주는 소비 할인권 지원 사업을 재개. ~영화 관람권은 예매에 한해 1인당(2장까지) 6000원 할인. 공연 티켓은 8000원 할인. ~숙박, 여행, 외식 등 3개 분야는 일단 제외.(조선일보 중앙일보)
# 한국 은행들의 개인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지난8월 이후 오름세. ~시장금리 상승 요인에 정부 금융당국이 은행들에 신용대출 조이기를 요구하면서 우대금리도 박해지는 추세. ~은행권은 연말까지 가계대출 심사를 한층 강화할 방침. (서울경제)
# 한국의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가 오는 2035년부터 휘발유나 경유를 쓰는 내연기관차의 판매를 금지하도록, 정부에 권고하는 방안을 검토 중. ~기후변화 대응의 친환경 전환 속도가 빠른 북유럽 국가들에 비견될 만큼, 상당히 급진적인 일정으로 논란이 예상. (서울경제)
◐아침생각◑
너무 많이 생각하는 것이 문제를 만든다.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
<설악산 단풍 / 오늘 행운을…>
♣매일 아침 7시 40분 이전에 메모를 올립니다. ♣독해 및 메모 쓰기 과정의 착오로, 오독과 오탈자 및 숫자 오류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관심 사항은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원문을 다시 확인하고, 스스로 판단해 주십시오. ♣오탈자 및 오류 수정용 댓글을 환영합니다.
'매일 매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 아침메모 수요일(10월 21일) (0) | 2020.10.21 |
---|---|
주식투자 아침메모 화요일(10월 20일) (0) | 2020.10.20 |
주식투자 아침메모 금요일(10월 16일) (0) | 2020.10.16 |
주식투자 아침메모 목요일(10월 15일) (0) | 2020.10.15 |
주식투자 아침메모 수요일(10월 14일) (0) | 2020.10.14 |